Bio/Pharma

특허제도의 개혁

제약사업 특히 신약에 있어 그 가치는 특허와 밀접히 연계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제도가 존재하는 기본적인 목적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특허는 혁신적 아이디어를 일반에 공개하는 것을 장려하여 사회적으로 혁신을 보다 촉진하기 위함을 그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아이디어 공개를 장려하기 위하여 특허를 최초로 출원한 자 (선발명주의를 채택하고 있는 미국의 경우는 발명을 최초로 고안한 자) 에게 일정기간 특허에 배태된 아이디어에 대한 사업의 독점권을 부여하고 있다.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은 알겠지만, 독점은 자유경쟁에서 얻을 수 있는 사회 전체적 후생을 왜곡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불공정한 독점을 규제하기 위한 기관 혹은 제도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정거래위원회가 그 기능을 맡고 있다). 특허에 의한 독점은 예외적인 경우로 오로지 혁신적 아이디어 공개를 통하여 사회가 얻는 후생이 독점에 의해 왜곡되는 후생보다 크다는 가정이 성립하는 경우에만 그 가치가 유지될 수 있다.

Read more

PPC 주사

정기적으로 살펴보는 fierce biotech 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Positive results of Phase-III trials suggest that ATX-101 is effective as a non-surgical treatment for the reduction of unwanted submental fat

이 ATX-101 이란 것이 작용기전이나 효과는 결국 PPC 주사와 같은데, PPC 주사는 몇년전 브리트니 주사라고 국내 피부과, 성형외과는 물론 일반 개원가에서도 부분지방제거 주사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제품이다. 아미팜이란 중소기업이 개발, 리포빈이라는 상품명으로 발매하여 한때는 연매출이 200억 가깝게까지 갔었던 미용/에스테틱쪽에서는 초대박 상품이었다.

Read more

Megafund: Financing medical research

젊었을 땐 그러지 않았는데, 언젠가부터 여행도 직접 가는것 보다 남이 다녀와 쓴 여행기 읽는 것을 좋아하고, 골프도 필드에 나가는 것보다 TV 로 남이 하는 플레이 보는 것 더 좋아진다. 점점 뒷방 인생이 되어 가는 느낌.

비지니스 협상에 있어서도 직접 나서서 설치기 보다는 오히려 협상전략을 디자인하고 협상에 필요한 여러가지 모델들 만들고 검토하는 게 주 일이 되어 버렸다. 언제가 협상의 7 요소란 글을 쓴 적이 있는데, 전술적인 측면에서 다른 요소보다 legitimacy 에 더 주력한다고 할 수 있을까?

1년 넘게 구독을 끊었다가 그래도 글로벌 경제지 하나는 보아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Economist 를 다시 구독하기 시작했는데, 최근호에 이런 기사가 실렸다. Financing medical research : Disease or Cure? 거창한 제목만큼이나 내용이 그만큼 따라가지 못한다 싶었는데, 기사 속 megafund 란 말이 끌렸고, 마침 기사 내에 논문 링크가 있길래, 오랫만에 논문 프린트하여 주의 깊게 읽어보았다.

Read more

40분 투자: 줄기세포 & 재생의학

DJ 박소현이 나와 인터넷으로 신청만 하면 집까지 차를 가져와 시승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하고는 혼자말로 “세상 참 좋아졌어” 하는 현대차 광고 보셨는지?

40분만 투자하면 배아줄기세포 분야 세계 대가 중 하나인 Douglas Melton 하바드대 교수가 현대생물학의 핫트렌드가 무엇인지, 발생학은 무엇이고, 줄기세포는 어떤 역활을 하는지, 그리고 응용측면에서 이런 줄기세포가 어떻게 재생의학의 근간을 이루고 또 신약개발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animation rich format 으로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준다. (영어도 쉽다)

“세상 참 좋아졌어”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Y95hT-koAC8&w=560&h=315] Read more

Generalist vs Specialist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Generalist 와 Specialist 가 겸비된 T 자형 인간이 되어야 한다는데, T자형 인간도 아래 그림과 같이 두개의 유형이 있다. Typography 측면에서 왼쪽이 공식 T 자이다. 즉, 폭이 넓은 것보다 깊이가 깊어야 한다.

줄기세포 관련 유용한 블로그를 어느 분께 추천받아 RSS 로 구독 정기적으로 보고 있다. 얼마전 블로그에서 중간엽 줄기세포 (전문용어로는 mesenchymal stem cell 혹은 줄여서 MSC 라 한다) 관련 최근 리뷰 논문 중 가장 comprehensive 한 논문이 Nature Medicine 에 실렸다 하여, 어렵사리 full article 까지 찾아 읽었다.

The meaning, the sense and the significance: translating the science of mesenchymal stem cells into medicine

두번 세번을 읽어도 도저히 감을 잘 잡지 못해, 결국 발생학 전공한 부하직원에게 핵심 포인트 정리하라고 지시해서 받았다. 아무래도 나는 공식 T자형 인간은 아닌것 같다. 그러면서 바이오 분야 가장 technology intenstive 한 분야에서 밥 안 굶고 먹고 사는것 보면 꼭 공식 T자형 인간이 될 것까지는 없다는 생각도…

(PS) 그 부하직원 어려서부터 외국에서 자란 소위 네이티브 스피커인데, 나중 평이 세상이 이렇게 영어를 배배 꽈서 써 놓은 논문은 처음이라고, 자기도 머리에 쥐 날 뻔 했다는 것 보니, 반드시 깊이의 문제는 아닐지도..

Read more
...9101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