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류

안녕들 하십니까?

나도 이렇게 시작해 보자 “요즘 안녕들 하십니까?”

정치학을 전공한 사람은 아니지만, 대학 1학년때 교양과목으로 들은 정치학 개론에서는 정치의 목적은 사회의 갈동해소라고 배웠다. 다양한 집단이 구성하는 것이 전체 사회이기에 그들간 이해관계가 대립하는 경우가 생기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정치가들은 이런 대립이 폭력이나 투쟁으로 비화하지 않도록 절충하고 타협하여 적절한 선에서 해결하는 것이 그 존재이유이다. 하지만 우리의 현실은 반대로 흐른다. 갈등을 해소하라는 정치가들이 갈등을 오히려 조장하고 있다.

Read more

대만은 사과, 한국은 바나나?

지난달 대만 출장에서 오랜 시간 같이 보냈던 파트너사 사장님이 Jane Chiang 이란 여자분이다.

총 3박4일 출장중 이틀을 풀로 이른 아침부터 밤늦게까지 함께 보냈더니 많이 친해져 마지막 밤 저녁시간엔 이런저런 개인적 얘기도 많이 나누었다. Aesthetic 분야에 오래 계셔서 그런지 얼굴이 뺀뺀해서 나이 짐작이 잘 안 되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만 55세, 나보다 근 10살 연상 누나다.

상당히 professional 한 분이었지만, 근본은 속일 수 없는지 언듯언듯 부잣집 딸네미 특유의 뭐랄까 약간 경박스러움이랄까 그런게 묻어나더라. 나중에 알고보니 아버지는 cardiology 쪽으로 대만에서 유명한 의사선생님이고, 남편 역시 orthopedic 쪽으로 대만뿐 아니라 본토 및 홍콩 포함 범중화권에서 유명한 의대교수님이란다.

마지막 밤 저녁 먹으며, 자기 어릴적 대만엔 사과가 엄청 귀했는데, 자기 uncle (큰 아버진지 작은 아버진지, 외가쪽인지 친가쪽인지는 못 물어보았다) 이 장성이어서 자기네 집은 사과가 떨어진 적이 없었단다. 말 나온 김에 나 어릴적 한국은 바나나가 하도 귀해서, 소풍이나 가야 한개쯤 맛보고 했는데, 그나마도 아끼느라 안 먹고 있다가, 오후에 거무튀튀 변한 바나나 먹었단 얘길 하면서 서로 많이 웃었다.

50년 가까이 공산주의 치하였던 본토나 기타 동남아시아 국가와는 어떨지 몰라도, 홍콩, 대만, 한국 (distantly 일본도 포함하면) 등 비슷한 기간 고도성장을 경혐한 나라 사람들끼리는 뭐랄까 미국이나 유럽애들과는 공유할 수 없는 공통점들이 있다.

(낮에 타이페이 시내 차로 지나가다가 종교 얘기가 나왔는데, 대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종교는 도교이고, 자기 남편은 관우신을 믿는다는 데에서도 또 빵 터졌다. 서울에도 동묘란 곳에 가면 관우를 모신 사당이 있다고, 삼국지로 주제가 쏠리니 갑자기 할말도 많아지고, 막히는 타이페이 도심도 순식간이더라)

Read more

Punch Line

나라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드러내놓고 부를 과시하는 졸부 혹은 속물 근성을 좋게 보는 나라는 많지 않다 (글쎄 듕귁 정도?)

명품 브랜드도 비싸고 고급일 수록 로고나 상표를 작게 하고 심지어는 아예 붙이지 않는다고 한다. 오히려 저급 제품일 수록 커다란 상표를 전면에 붙이지, 진짜 고급은 은근한 이미지로 가치를 발산한단다. 맥락을 짚어 상상의 스토리를 풀어나가다 한방의 펀치라인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비지니스는 결국 가치와 가격 비용간 삼각형 게임이라고 누누히 얘기했고, 가격과 비용이야 금전단위로 얼마 딱 떨어지지만, 가치란 것은 주관적인데다 intangible 해서 측정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 은근한 유혹 그리고 강력한 한두마디 펀치라인의 중요성이 나온다.

이번주 사장님이 출근안 하셔서 그런지 나른한 오후, 예전에 만들었던 발표자료, 마케팅 자료 다시 들춰보고 있는데, 촌스럽기 그지 없다. 마치 클럽에서 만나자 마자 “나 돈 열라 많은데 오늘밤 우리 원나잇 스탠드 안할래요?” 묻는 식으로, 발표 첫장부터 그저 이건 이래서 좋고, 저래서 좋다 식의 제자랑의 나열.

은근하지만 흥미 있고, 쿨하지만 슬쩍 열정을 내보이고, 그렇게 끌고 가다 한방에 강력한 punch line 으로 휘어잡아야 소위 professional businessman 이라 할텐데…  

Read more

수렴형 인간 vs 확산형 인간

비지니스란게 결국 사람과 사람간에 이루어지는 것이고, 그 비지니스 바닥에서 15년이 넘도록 구르다 보니 다양한 사람을 만나게 된다. 명확한 기준만 있으면 사람을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도 그닥 어렵지 않다. 수학적으로 집합이 성립되려면 측정가능한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한다지만 (예를 들어 객관적 측정이 가능한 몸무게 혹은 안경착용 여부), 인생이 꼭 수학적으로 전개되는 것은 아니니 수렴형 인간과 확산형 인간으로 나누어 볼 수도 있겠다. 수렴과 확산에 대해서는 다들 잘 알테니 별도로 설명할 필요는 없으리라 생각한다.

Read more

관찰의 힘

“관찰의 힘”

이미지

스테디셀러까지는 몰라도 요즘 서점가 베스트셀러인 것 같던데, 그닥 실용적인 책은 아니다. 전직장에서는 POP (point of parity) 라 했고, 다른 마케팅 책에서는 FOR (frame of reference) 라고도 하두만, 어쨋든 신사업이 되었던 신제품이 되었건 잠재고객의 일상행태와 인식구조를 철저히 조사해야 하고, 그것도 책상 머리에 앉아 자료 위주로 하는 피상적 조사가 아닌 현장을 훑는 직접 조사가 되어야 한다는 점에는 100% 동감. 

저자가 부록으로 디자인 연구의 여덟가지 법칙을 남겼는데 정리해보면 대략 이렇다.

1. 표면적을 최적화하라.
2. 현지팀은 성공적 연구의 열쇠다.
3. 모든 것은 여러분이 있는 곳에서부터 나온다.
4. 다층적인 채용전략을 세워라.
5. 참자가 제일주의를 기억하라.
6. 자료에 숨 쉴 공간을 주라.
7. 일반적인 규칙은 통용되지 않는다.
8. 긴장과 피로를 풀 시간을 남겨두라.

#1. 요즘 회사에서 인접분야로 사업확장하려는 시도를 많이 하는데, 관찰의 힘 측면에서 일부 걱정되는 측면도 있다. 

#2. 이 책은 리디북스의 전자책으로 읽었는데, 중간중간 형광펜 친것, 메모한것, 북마크한 것등 언제든 모아서 볼 수 있는 독서노트 메뉴 참 유용하다.

Read more
...121314151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