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 business

한국 제약산업 정말 R&D 가 문제일까?

간만에 집에 일찍 들어와 TV 뉴스 보고 있자니, 3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전년동기 대비 1.6% 에 머물렀단다. 몇년 이후라고 했는지는 잊어버렸지만, 역대 최저 수준이란다. 거기에 얼마전 배달된 매경이코노미에는 우리나라 10대 그룹 주력사업 흔들리나 뭐 이런 제목으로 특집기사를 실었다. 이런 배경인지 오늘 제약관련 뉴스에는 제약사업이 우리나라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아야 한다며, 국내 제약산업의 문제가 뭔지 세세하게 꼬집은 기사가 제법 많이 실렸다. 29일에는 국회에서 우리 제약사업의 미래에 대한 워크샵도 열린단다.

공통적인 것은 제약사업의 밝은 미래를 위해서는 R&D 가 기본인데, 재원도 모자라고 능력도 모자라고 경험도 모자라단다. 이를 위해 천억미만 규모의 제약사가 95% 를 차지하는 제약산업의 영세구조를 개선해야 한다는 얘기, 정부가 신약에 대한 약가 우대를 통해 신약개발의 인센티브를 만들어야 한다는 얘기, 또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정부의 연구지원이 정말 가치있는 프로젝트로 흘러가야 한다는 등등 여러가지 얘기가 오고간다.

Read more

바이오시밀러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시대’ 선언

위의 기사처럼 셀트리온이 레미케이드 바이오시밀러인 CT-P13의 허가를 앞두고 독일의 류마티즘 학회에서 바이오시밀러 시대를 선언했단다. 저분자 약물에 대해 얘기하는 제네릭 약품과는 달리 바이오시밀러는 임상과정도 복잡하고 생산에 요구되는 기준도 까다로워 진입장벽이 높은 등 여러가지 이유로 선도자의 독식이 가능할 수도 있는 분야다. 미국 같은 경우도 para IV 에 의해 특허챌린지를 통해 출시된 퍼스트 제네릭에 대해서는 출시 후 6개월간의 exclusivity 를 주는데, 나중에 장벽이 풀려 다른 제네릭이 출시된다고 해도 퍼스트 제네릭의 시장점유율이 상당기간 50% 를 넘어간다는 등 어쨋든 선도자 효과를 무시할 수는 없다.

다만, 개발의 어려움과는 별도로 그 경제학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엔브렐이나 레미케이드 모두 관절염쪽에서 disease modifying agent 로 염증을 일으키는 TNF-alpha 의 발현 혹은 작용을 억제시켜 질병의 진행을 늦춰주는 역활을 한다. 기존의 저분자 NSAIDS 가 질병의 진행과는 상관없이 소염이나 진통효과 즉 symptom 을 억제하는 것에 반해 질병의 치료와 관련 있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다. TNF-alpha blocker 계통의 바이오약물 대부분이 연매출이 1조원이 넘는 거대품목인 바, 가격이 저렴한 제네릭이 출시된다면 단순계산만으로도 상당한 매출을 올릴 수 있을 거라 예상할 수 있다.

Read more

Chronicle (4)

전편에서 비타민C 안정화를 목적으로 DSC 프로젝트팀이 어떻게 구성되었고, 또 어떻게 take off 했는지 주저리 주저리 읊었으니 이 연재 새로 보시는 분은 전편 (http://blog.leenjay.com/2012/05/17/chronicle-3-27-2/) 참조하시기 바란다.

환호와 기대속에 기술전략회의 발표 잘 마치고, 몇일간은 뭐랄까 영웅이 된 것 같은 기분이랄까? 97년 발매 이래 성장이 정체되어가고 있는 레티놀2500 에 대한 구세주랄까 뭐 그런 느낌에다가, 그 전까지는 이런 과제가 있는지 없는지조차 관심도 없었던 화장품 연구소에서 러브콜이 쇄도 하는 등등 (그때는 그렇다. 같은 태평양 연구소라도 화장품 연구소에서 제품 담당하는 연구원은 진골, 기타 안전성등 제품과 직접 관계되는 지원부서 연구원은 성골, 그리고 우리 같이 원료 개발하는 연구원은 육두품이라고 했다. 기타 분야 연구원은? 용병이었지 뭐).

Read more

Chronicle (3)

(요 몇일 이어진 환송회 음주로 연재가 일시 중단 되었습니다. 다시 새마음 새자세로 시작합니다…)

비타민C 안정화를 목표로 새롭게 구성된 프로젝트팀 DSC 얘기까지는 전편 참조하시고 (http://blog.leenjay.com/2012/05/15/chronicle-2/), 예전 보고서 들여다 보니 당시 구성원이 나 포함 총 5명이었는데, 권순상, 김진한, 박정원 그리고 객원멤버로 당시 화장품/생활용품 연구소의 최문재 이렇게더라. 앞서 얘기한 것 처럼 A*L 의 컨설팅 결과 시작된 매트릭스 조직에서는 나이 많은 팀장과 새파란 PL 의 위상이 같아, PL 에게도 예산권, 인사권이 다 보장되었다. 문제는 PL 은 짧게는 6개월, 길어야 1-2년 정도만 지속되는 임시 조직이고, 팀은 상시 조직인데다, 프로젝트 소속 팀원의 100% 몰입하는 것이 아니라, FTE 기준으로 많게는 90% 작게는 30% 만 프로젝트 업무를 하고, 나머지는 팀업무를 하게 되어 있어, 팀장과 PL 의 손발이 잘 맞지 않으면,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는지 복잡하게 운용되었다는 사실이다. 내 경우 당시 팀장이셨던 장*섭님과 내가 궁합이 잘 맞아 큰 문제 없었지만, 다른 조직 같은 경우 소통이나 업무플로우에 상당히 문제가 있었다 (이런저런 문제로 야심차게 도입되었던 매트릭스 조직 운용은 일년만에 전면 폐지 되었다).

Read more

Chronicle (2)

앞글 (http://blog.leenjay.com/2012/05/15/chronicle-1/) 에서 얘기했듯이 첫번째 프로젝트는 입사후 6개월만에 그렇게 날아가 버리고, 병특이 아직 남아 있어 좀 막막하더라. 물론, 당시 과학원 졸업자는 병특 티오를 자기가 들고 다녔기 때문에 병특으로 지정되어 있는 업체이기만 하면 티오에 관계 없이 옮길 수는 있었지만, 6개월만에 다른 회사로 옮기기도 좀 그랬고, 당시 IMF 금융위기로 대부분 회사 사람 자르느라 정신 없는데, 사실 옮길만한 회사도 별로 없었다.

Read more
...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