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Pharma

Leader vs Manager

똘똘한 애들 밑에 두고 관리자로 일하다 보면 두가지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나와 부하직원간의 job description 을 동일하게 놓고 이들의 업무효율을 최대로 끌어 올릴 것이냐 아니면 나는 부하직원과 구별되는 새로운 job description 을 만들고 부하직원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냐.

다른 것보다 여기서 리더와 매니저가 갈리는 것이 아닐까 싶다. 다른 업무는 잘 모르겠고 10년 넘게 하고 있는 최소한 신규사업개발과 관련해서는 그렇다고 확신한다. 비지니스라는 것이 단순히 물건 하나 더 잘 판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단계별로 그 목적과 목표가 다르다. 기업이 관여된 비지니스에서 최상의 목표는 TSR (주주이익 극대화) 라는 것이 최근 다소 이견은 있으나 (유럽식 stakeholder’s value 가 더 상위라는 학설이 점점 대세화 된다고 한다), 아직은 정설이다. 대략 그림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value-driver

최상의 목표를 top 으로 하여 기업은 구성원 각자에게 그 하부 목표를 할당한다. 그리고 그 하부목표의 성과들이 모여 상층 목표의 성과를 이룬다. 그런데 이것이 말처럼 smooth 하게 연결되는 프로세스이면 별 문제 없겠으나, 하부목표가 제대로 달성된다 해도 자동적으로 상층 목표의 성과가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이것이 경영의 묘미라고 한다 (실제 경영학 교수들에게 질문해 봐도 경영은 아직 purely science 라기 보다는 art 와 science 의 절묘한 혼합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훌륭한 요리에는 신선하고 최상의 재료가 가장 중요하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요리는 최상의 재료를 어떻게 각각으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요리로 융합되도록 결합하느냐에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한 접시 요리가 아닌 훌륭한 한끼의 식사로 승화시키는 데 있다. 코스의 구성과 순서에 따라 한끼의 식사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매니저는 어물전이나 고깃간에 가서 신선하고 훌륭한 재료를 적절한 가격으로 확보하는데 집중한다면, 리더는 확보된 재료를 가지고 얼마나 훌륭한 한끼 식사의 경험을 만들어낼 것인지를 가지고 고민하는 것, 그 차이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Read more

EVA to Patient

지난번 출장시 방에서 커피끓이려다 스팀에 데어 빨갛게 되어 진물이 뚝뚝 흐르던 상처가 1주일이 넘어가니 여름 해변가 선탠하다 화상 입은 정도로 거의 치유되었다. 한주만 더 지나면 거의 구분이 되지 않을 듯 싶다.

Read more

화냥년

역사적으로 보아 대한민국 남자가 가장 비겁했던 때는 병자호란 직후가 아니었을까 싶다. 남자들만이 사람 대접 받던 시절에 오죽들 못났으면 제 나라 하나 못 지키고, 오랑캐라 업신여겼던 여진족들이 세운 청나라에 나라 다 짓밡혀 놓고는, 전쟁통에 끌려가 욕 당하고 온 제 며느리 제 딸들을 화냥년이라 손가락질 하면서 다시 내쫓는 멘탈리티는 아무리 역사는 그 시대의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해도 어떻게 이해해야 할 지 모르겠다.

Read more

CVC (Corporate Venture Capital)

IT 및 스타트업 관련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는 임정욱 선생의 최근 트윗

Corporate Venture Fund

작년 5월 회사를 옮기는 transition 동안 4-5편의 블로그 포스팅으로 전직장에서 했던 일을 기록한 적 있었는데, 연구소에서의 일 쓰다 기가 빠져 2000년 본사로 옮긴 (개인적으로는 연구원에서 비지니스맨으로 전직하면서) 이후 일은 미쳐 못 올렸다. 전환의 계기는 2000년 바이오쪽 foothold 를 만들겠다고 회사에서 CVC 팀을 만들면서 였다.(나중에 기술전략팀이란 별도 팀이 되기는 했지만, 당시는 연구경영실 서울분실)

Read more

의료시술에 대한 두얼굴

최근 Nature 에 난 기사.

Unknown Territory

정식 인허가에 있어 전세계 어느 나라와 비교해도 까탈스럽기 그지 없는 일본의 경우 의사나 병원의 책임하에 정부당국에서 허가 받지 않은 의약품의 처방 혹은 시술 (authrized prescription) 에 대해서는 또 전세계에서 유래를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관대하다.

얼마전 RNL 바이오의 무허가 지방줄기세포 시술에 대한 마이니치 신문의 보도 이후 그래도 조금은 강화되는 것 같지만, 이것도 여전히 iPS 나 embryonic stem cell 등 소위 여론의 논란이 될만한 부분에 대해서이고, 성체줄기세포에 대해서는 여전히 규제의 손길이 미치지 못한단다.

난치병에 걸려 고통받는 환자의 심정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99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1명의 무고한 사람을 억울하게 하지는 않겠다는 수사원칙처럼 미쳐 발견하지 못한 위험성으로 인해 병 고치려다 더 큰 병을 얻게되는 억울한 케이스가 나지 않도록 적절한 규제 조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혁신 약물에 대한 인허가 속도가 빨라져야 한다. 제도의 해석에 있어 오해의 소지가 없도록 명확하게만 해도 이 부분은 많이 해결될텐데….결국 이것도 공무원 책임의 문제가 아닐까 싶다. 복지부동이 항상 죄지 뭐…

Read more
...8910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