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innovation

여성잡지에 주로 많이 나오는 혈액형으로 구분하는 성격 유형, 일반화 시키는 편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나 자신은 A (Rh-) 로 triple A 형에 딱 맞는 성격이라 속도 좁고 샘도 많은 편이다. 작년 한해 한미약품이 이룬 성과가 바이오/제약 업계에 소위 희망과 가능성이란 바람을 불어 넣은 것 절대 부정하지는 않지만, 이후 한미약품이 주최한 일련의 행사들 참가하면 온갖 자기자랑 늘어놓을 것이 너무 뻔해 눈꼴 시어 참석하지 않았다.

어제 신라호텔에서 한미약품 주최로 대대적으로 개최한 “제1회 한미 오픈 이노베이션 포룸” 은 제목 자체에서 보듯이 4건의 큰 라이센싱 성과 이후 한미가 이후 이노베이션 전략을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소개의 장이 되지 않을까 싶었고, 바이오벤처에서 사업개발하는 입장에서 이 기회에 편승할수도 혹은 좋은 벤치마킹의 기회가 되지 않을까 싶어 참석했다 (신라호텔 무슨 볼룸홀에서 한다기에 사람이 많기는 하겠구나 싶었지만, 600명이나 올 것이라고는 생각 못했다).

전체적으로 잘 구성된 행사였지만, 당초 내가 생각했던 그것과는 조금 거리가 있었다. 하지만, 정부 주도로 기획되었던 과거 유사한 행사에 비해 그림 그리는 데서 끝나지 않고 사후 액션이 가능할 수 있는 민간 기업이 이러한 장을 열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생각하고, 2회, 3회로 넘어갈 수록 점점 발전되리라 기대한다.

사실 open innovation 이란 개념을 업계의 프로파간다로 만든데는 지식형 혹은 하이테크 기업이라 보기어려운 그러나 다국적 공룡 소비자 기업 P&G 라 할 수 있다. 그들이 모토로 내걸었던 “Connect & Development “, 많은 기업이 벤치마킹 했었고, 경영학계에서도 많은 케이스 스터디가 이루어 지기도 했다. 당시 P&G 에서 C&D 전략을 주도했던 Larry Huston 이 2006년 HBR 에 기고한 아티클 여기 공유한다.

Connect and Development : Inside Procter & Gamble’s new model for innvoation

Open innvoation 관련 상징적인 케이스로 소개되는 것이 그 유명한 스프링글스 감자칩. 신제품 기획하며 겉면에서 식용잉크로 재미있는 cartoon character 들 engraving 하기로 했는데, P&G 내부 연구진들 총동원 해도 원하는 수준의 제품개발에 실패했단다. P&G 유럽지부 누군가가 과자업과는 아예 코딱지 만큼의 관계도 없는 이태리의 무슨 인쇄 업자를 발굴하였고, 이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에 성공, 큰 상업적 성공을 거뒀다는 일화이다 (결국 open innovation 이라는 것이 결코 무겁고 심각한 주제만은 아니라는 점을 시시한다).

어제 발표중 어떤분이 법무팀의 경직성이 open innvoation 을 저해하는 huddle 이라 말씀하셨는데, 내 경험에 의하면 거기에 더하여 기획팀 (혹은 전략기획팀) 의 안이함 역시 못지 않은 저해요소라 말하고 싶다. 그림을 그리고 부서간 업무분장을 마치고 실행부서에 던져주면 마치 마법처럼 그들의 그림이 실행되고, 자기들은 큰 칠판에 대쉬보드 그리고 진도만 관리하면 뭐가 되는것 마냥 생각하지만,  세가지 경영자원 즉 예산, 조직, 인력이 받쳐주지 않으면서 그림이 현실이 된다고? 천만의 콩떡이다.

어제 행사 서두에서 한미약품 부사장님께서 앞으로 한미는 open innovation 을 보다 활성화 하기 위해 Hanmi Ventures 란 조직의 신설도 계획하고 있다 하셨는데, 작년 한미의 성과가 open innovation 의 추구로 이어지고, 이것이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의 한단계 upgrade 로 이어져 나가기 희망한다.

(PS) 최근 P&G 실적을 보면 실망스럽기 짝이 없는데, 이것이 open innovation 을 너무 적극적으로 추구한 결과인지, 당시 리더들이 회사를 떠나며 하다 말아서 그런건지, 아니면 open innovation 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 것인지는 나도 모르겠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