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의 진화

개리 해멀의 ” 경영의 미래” 부터 시작해서 회사에서 추천하는 책들 대부분이 미래의 기업경영이 어떻게 될 것이냐에 대한 것이고, HBR 같은 경영잡지를 들춰 보아도 대부분은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다. 과거는 미래에 대한 거울이라고, 경영이란 것이 학문적으로 그리고 실제적으로도 과거에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한번 복습해 보는 것도 가치가 있을 듯 싶어, 주말에 꺼내 든 책이다.

20세기초 테일러의 과학적 경영기법으로부터 내용이 시작된다. 분업과 측정을 통하여 생산성의 혁명을 일으킨 최초의 시도로서 학문으로서 경영학이 태동하는 시점이다. 테일러하면 케케묵은 100년전 이론일 것 같지만, 이 유산은 지금도 기업 구석구석에서 발견된다. 이어서 그 유명한 포드 자동차의 T model 얘기가 나온다. 작업 생산성의 개선이 실제 대량 생산과 소비로 이루어진 최초의 사례이다. 이후 슬로언의 GM 사례가 따르고, 이를 통해 현대 기업의 관료적 조직 설계 그리고 소비자의 욕망 발전등을 커버한다. 예전 경영대학원 시절 언듯 들었던 기억이 나는 호손 실험, 인간의 감정이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야기도 이 즈음에서 나온다. 1940년대는 전쟁의 시대로 국가가 주도하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전면에 등장하고, 여기서 글로벌 브랜드의 태동 사례로 코카콜라, 스팸, 위글리 및 질레트 면도기 얘기가 나온다. 전후 풍요의 시대인 1950년을 기해서 본격적인 마케팅의 시대가 도래하는데, 마케팅 mix 4P 개념이 처음 확립된 것도 이때라고 한다. 1960년대는 전략이란 개념이 기업경영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시대이며, 전략이란 개념은 말 그대로 군대의 개념으로부터 차용된 것이라 한다. 아마도 베트남전등의 영향이 아닐까 싶다. 1970년대는 유가폭등으로 시작된 전세계적 불황의 시대로서, 30년대 GM 으로부터 도도히 이어져 내려온 거대 기업 조직 개념이 도전받는 시대, 80년대는 주식회사 일본의 부상으로 품질의 재정립의 시대. 90년대는 바야흐로 무형의 가치가 전면에 부상하는 지식경영자의 시대. 마지막으로 2000년대는 혼돈의 시대로서 학습조직과 지식경영. 이렇게 각 시대별로 대표적인 경영개념의 흐름 그리고 시대와 시대를 반복적으로 연결하여 경영이라는 개념의 흐름을 비교적 소상하게 소개해 주고 있다. 중간중간, TQM, Six Sigma, Business reengineering, 5 force frame 등 친숙한 경영용어도 적절한 곳에서 소개된다.

책을 읽는 내내 머리 속에는 과연 경영의 본질적 목적은 무엇인가 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휴가 때 시골길을 운전하다 보면, 아 어떻게 이런 촌 구석까지 포장도로가 깔렸을까, 높은 산에 올라가 보면 어떻게 이런 고지까지 케이블카를 설치했을까 하는 생각 아마 다들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대규모 댐이나 수십층짜리 빌딩을 보아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대규모 작업은 혼자의 힘으로는 절대 할 수 없는 일이고, 여기서 경영의 니즈가 발생하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을 했다. 결국 경영이라 함은 원하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일의 조직화라고 스스로 결론 내렸다. 그리고, 일의 주체는 결국 사람이므로, 사람의 조직화가 결국은 경영인 것 아닐까? 그럼 경영의 성과 혹은 경영의 질은 어떻게 파악해야 할까? 원하는 결과의 달성 여부 혹은 그 결과를 얼마나 저렴한 비용으로 달성했느냐 ? 책에서 말하고 있듯이 경영학은 20세기 들어와 비로소 각광 받기 시작한 비교적 역사가 짧은 학문이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 파라오의 피라미드, 진시황의 만리장성, 그 밖에 셀 수 없이 많은 대역사들 역시 효과적 경영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현대 경영이 다른점은 무엇일까? 여기서 가치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바르셀로나의 대성당은 지금까지 200년을 넘게 공사를 진행해 왔고, 앞으로도 완공까지 얼마나 걸릴지 모른다고 하지만, 그것을 가지고 경영의 실패니 비효율이니 말하는 사람은 없다. 결국은 원하는 결과물이 어떤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느냐에 따라 성공이냐 실패가 결정된다.

문제는 과거와는 달리 이 가치라는 것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데 현대경영의 어려움이 있는 것 아닐까 싶다. 배고픈 시절 그저 밀가루, 설탕만 쥐어 주면 만족하던 시대의 경영과, 무엇을 보아도 감흥이 없는 현재에 있어 경영이 같을 수는 없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속도는 점점 더 빨라진다는 데에 경영의 불확실성이 있는 것 아닌가 싶었다. 경영학 교수가 제시하는 학습조직이라는 개념 어찌보면 참으로 무책임한 말이기도 하다. 더이상 경영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없으니, 기업이 스스로 학습해서 알아내라는 말 아닌가? 뭐랄까, 어떤 확실한 맥을 짚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로 읽기 시작한 책인데, 오히려 머리가 더 혼란스러워 진 것 같기도 하다. 다행인 것은 이러한 복잡성과 불확실성이 특정 경영인이나 특정 기업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 참여하는 모든 기업에게 공통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어쩌면 21세기는 surfing 경영의 시대가 아닐까 싶다.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파도를 예측하고, 순발력 있게 균형을 잡고, 이제 이 산이 아닌가벼가 일상화 되는 시대가 오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책을 읽으며 발견할 사실인데, 그 시작부터 경영학의 주도권은 미국이 잡고 있었으면, 소위 대가라는 사람의 이름은 대개 복잡하고 어려운 유럽식 이름이다. 뭐 물론 톰 피터스, 마이클 해머 그리고 영원한 그루 피터 드러거등 100% 앵글로 색슨 이름도 많긴 하지만…)

Leave a Comment